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실내디자인론 - 디자인의 요소
    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5. 3. 00:43

    1. 점

    * 정의 

    = 점은 기하학적인 정의로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다.

    = 점은 선과 선의 교차, 선과 면의 교차, 

       선의 양끝 등에 의해 생긴다.

     

    * 점의 효과

    = 점의 장력(인장력) : 2점을 가까운 거리에

       놓아두면 서로 간의 장력으로 

       선으로 인식되는 효과

    = 시선의 이동 : 큰 점과 작은 점이 함께 놓여

       있을 때 큰 점에서 작은 점으로 

       시선이 이동된다.

    = 많은 점을 근접시키면 

       면으로 지각하는 효과가 있다.

     

    2. 선

    * 정의

    = 선은 길이와 위치,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폭과 부피는 갖지 않는다.

    = 점이 이동한 궤적을 선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을 포지티브라 하며 많은 선의 근접은

       면으로 지각되는 효과가 있다.

     

    * 선의 특성

    = 선은 길이와 위치만 있고, 폭과 부피는 없다.

       점이 이동한 궤적이며 면의 한계,

       교차에서 나타난다.

    = 선은 어떤 형상을 규정하거나 한정하고

       면적을 분할한다.

    = 운동감, 속도감, 방향 등을 나타낸다.

     

    * 선의 조형 심리적 효과

    = 수직선은 구조적인 높이와 존엄성, 

       고양감을 느끼게 한다.

    = 수평선은 영원, 무한, 안정, 안락, 평화 감을

       느끼게 한다.

    = 사선은 넘어지려는 움직임이 있어 운동감,

       불안정, 변화하는 활동적인 느낌을 준다.

    = 곡선은 유연, 복잡, 동적, 경쾌하며

       여성적인 느낌을 들게 한다.

     

    3. 면

    * 정의 

    = 면은 점을 확대 또는 집합시킨 경우나

       선 폭의 증대, 선의 집합 등으로 형성되며,

       입체의 한계와 공간의 경계이기도 하다.

       길이와 넓이는 있으나 두께가 없고 

       위치와 방향을 가지는 선의 집합체이다.

     

    * 면의 특징

    = 면은 선이 이동한 궤적이다.

    = 면은 절단에 의해서 여러 가지 면이 생긴다.

    = 평면과 곡면을 조합시키면 대비 감이 생기며

       공간의 구성에는 극히 효과적이다.

     

    4. 형태

    평면의 구체적인 형은 형(Shape)이고,

    입체적일 때는 형태(form)가 된다. 

    - 이념적 형태 : 인간이 생각하는 순수 추상

      형태로서 점, 선, 면, 입체 등의 추상적인 

      형태이다.

    - 현실적 형태 :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모든

      물상을 의미한다.

      = 자연적 형태 : 자연 현상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형을 만들어낸다.

      = 인위적 형태 : 휴먼 스케일을 기준으로 해야

         좋은 디자인이 된다.

    - 오가닉 형태 : 합리적, 수리적, 유기적인 형태로

       재현이 가능한 형태이다.

    - 액시던트 형태 : 우연적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재현이 불가능한 형태이다.

     

    5. 형태의 지각 심리(게슈탈트의 지각 심리)

    - 접근성 : 가까이 있는 시각요소들은 패턴이나 

       그룹으로 인지하게 되는 지각 심리

    - 유사성 : 형태와 색깔, 크기 등이 유사할 경우

       함께 모여 보이는 지각 심리

    - 연속성 : 점들이 연속이 선으로 지각되어

       형태를 만드는 지각 심리

    - 폐쇄성 : 불완전한 시각요소들을 완전한

       형태로 지각하려는 심리

    - 단순화 : 어떤 형태를 접했을 때 복잡한

       형태보다는 단순한 형태로 지각하려는 심리

    - 도형과 배경의 법칙 : 도형과 배경이 순간적으로

       번갈아 보이면서 다른 형태로 지각되는 심리

     

    6. 질감

    * 정의 

    = 모든 물체가 갖고 있는 표면상의 특징으로

       시각적이나 촉각적으로 지각되는 물체의  

       재질감을 말한다.

     

    * 질감의 특징

    = 매끄러운 질감은 거친 질감에 비해 빛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고 거친 질감은 반대로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다.

    = 질감의 성격에 따라 공간의 통일성을 살릴 수도

       있고 파괴시킬 수도 있으므로 

       공간에서의 영향력이 있으며, 재료의 질감 대비를

       통해 실내공간의 변화와 다양성을 

       꾀할 수 있다.

    = 목재와 같은 자연 재료의 질감은

       따뜻함과 친근함을 부여한다.

     

    * 질감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스케일, 빛의 반사와 흡수, 촉감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

     

    7. 문양

    * 정의 

    = 2차원보다 3차원적인 장식의 질서를 

       부여하는 배열로서 공간의 성격이나 스케일에

       맞도록 구성한다.

     

    * 문양의 특징

    = 문양은 일반적으로 연속성을 살린 것이 많다.

    = 규모가 크든, 작든, 추상적이든 간에 

       운동감을 지닌다.

     

    * 문양을 선정하는 모티브에는 자연적인 것,

       양식화된 것, 추상적인 것 등이 있으며,

       문양의 패턴을 선정하는데 문제시된다.

     

    8. 공간과 동선

    (1) 공간

    - 공간은 점, 선, 면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물체의 안쪽을 말한다.

    - 공간은 규칙적 형태와 불규칙 형태로 분류된다.

    - 공간의 분할

      = 차단적 구획 : 칸막이 등으로 수평, 

         수직 방향으로 분리 

      = 심리적 구획 : 가구, 기둥, 식물 같은 

         실내 구성요소로 가변적으로 분할

      = 지각적 구획 : 조명, 마감 재료의 변화,

         통로나 복도 공간 등의 공간 형태의

         변화로 분할

     

    (2) 동선

    사람이나 물건이 움직인 궤적을 선으로 

    나타낸 것을 동선이라 한다.

    - 동선의 3요소 : 속도, 빈도, 하중

      = 동선은 속도, 빈도, 하중의 3요소를 가지며

         이들 요소의 정도에 따라 거리의 장단, 

         폭의 대소가 결정된다.

      = 실내공간 평면계획에서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공간의 동선계획이다.

      = 동선은 대체로 짧고 직선적이어야 

         능률적이라 볼 수 있는데 상점, 백화점 건축과 

         같은 경우는 예외적으로 고객의 동선을 길게

         유도하여 매장의 진열 효과를 높인다.

    - 동선의 원칙

      = 동선은 가능한 한 굵고 짧게 한다.

      = 동선의 형은 가능한 한 단순하며 명쾌하게 한다.

      = 서로 다른 종류의 동선은 가능한 한 분리하고 

         필요 이상의 교차는 피한다.

      = 동선 내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 동선의 유형은 직선형, 방사형, 격자형, 혼합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직선형 : 경과 시간이 짧은 단거리로 연결된다.)
        (방사형 :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면서 연결한다.)

        (격자형 : 정방형 형태가 간격을 두고 반복된다.)

        (혼합형 : 여러 가지 형태가 종합적으로 

        구성되며, 통로 간에 위계질서를 갖도록 계획한다.)

     

    (3) 모듈

    절대적 수치가 아닌 계획자에 의해 편리상

    정해지는 상대적이고 구체적인 단위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