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실내디자인론 - 실내디자인 일반
    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5. 2. 23:36

    1. 실내디자인이란?

    - 인간 환경을 이상적으로 조화시킨 인위적인 작업이다.

    - 공간이 요구하는 본질적인 목적을 해결해야 한다.

    - 공간을 기술적, 예술적으로 쾌적하게 하는 것이다.

    - 내, 외부 등 인간이 점유하는 모든 생활공간을

      의미한다. (내부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2. 실내디자인의 조건 

    - 합목적성 : 기능성 또는 실용성

    - 심미성 : 아름다운 창조

    - 경제성 :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

    - 독창성 : 새로운 가치를 추구

    - 질서성 : 상기 4가지 조건을 서로 관련시키는 것

     

    3. 실내디자인의 목표

    - 실내디자인은 쾌적한 환경 조성을 통한 

      능률적인 공간 조성, 즉 쾌적성과 능률성이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 이는 주어진 환경공간의 인위적인 재창조를

      의미하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인체공학, 심리학, 물리학, 재료학, 환경학 및

      디자인의 기본원리 등 관련된 제반요소가

      참작 고려되어야 한다.

    - 실내디자인은 미적인 문제만 다루는 

      순수예술과는 달리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기능성, 창의성, 경제성, 실용성,

      가변성, 예술성 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여건하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 실내디자인의 쾌적성 추구는 기능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및 주관적 요소를 목표로 한다.

     

    4. 실내디자이너의 작업에 따른 분류

    - 인테리어 디자이너

      : 디자이너 본질로서 공간을 설계하고 

       계획하는 사람

    - 인테리어 데코레이터

      : 실내의 표정을 변화 있게 하고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실내를 장식하는 사람

    - 가구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 실내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디자인을

       담당하는 사람들로서 이것 자체가 

       실내 디자이너의 전부라고는 볼 수 없다.

     

    5. 실내디자이너의 역할 

    - 생활공간의 쾌적성 추구

    - 기능 확대, 감성적 욕구의 충족을 통한

      건축의 질 향상

    - 인간의 예술적, 서정적 욕구의 만족을 해결

    - 독자적인 개성의 표현

     

    6. 디자인 이미지 구축

    -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것은 능률적인

      공간 조성이 되도록 기능적, 정서적, 심미적, 

      환경적 조화 및 디자인의 기본 원리 등을

      고려하여 건축의 내밀화를 기하며 생활공간의

      쾌적성을 추구하기 위해 기술적, 미적인 면이

      조화를 이루면서 건축의 내부 공간을 창조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생활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 공간의 표상성이 디자인 이미지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