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디자인론 - 실내디자인 일반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5. 2. 23:36
1. 실내디자인이란?
- 인간 환경을 이상적으로 조화시킨 인위적인 작업이다.
- 공간이 요구하는 본질적인 목적을 해결해야 한다.
- 공간을 기술적, 예술적으로 쾌적하게 하는 것이다.
- 내, 외부 등 인간이 점유하는 모든 생활공간을
의미한다. (내부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2. 실내디자인의 조건
- 합목적성 : 기능성 또는 실용성
- 심미성 : 아름다운 창조
- 경제성 :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
- 독창성 : 새로운 가치를 추구
- 질서성 : 상기 4가지 조건을 서로 관련시키는 것
3. 실내디자인의 목표
- 실내디자인은 쾌적한 환경 조성을 통한
능률적인 공간 조성, 즉 쾌적성과 능률성이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 이는 주어진 환경공간의 인위적인 재창조를
의미하며, 이의 실현을 위하여
인체공학, 심리학, 물리학, 재료학, 환경학 및
디자인의 기본원리 등 관련된 제반요소가
참작 고려되어야 한다.
- 실내디자인은 미적인 문제만 다루는
순수예술과는 달리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기능성, 창의성, 경제성, 실용성,
가변성, 예술성 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여건하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 실내디자인의 쾌적성 추구는 기능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및 주관적 요소를 목표로 한다.
4. 실내디자이너의 작업에 따른 분류
- 인테리어 디자이너
: 디자이너 본질로서 공간을 설계하고
계획하는 사람
- 인테리어 데코레이터
: 실내의 표정을 변화 있게 하고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실내를 장식하는 사람
- 가구 디자이너, 조명 디자이너
: 실내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디자인을
담당하는 사람들로서 이것 자체가
실내 디자이너의 전부라고는 볼 수 없다.
5. 실내디자이너의 역할
- 생활공간의 쾌적성 추구
- 기능 확대, 감성적 욕구의 충족을 통한
건축의 질 향상
- 인간의 예술적, 서정적 욕구의 만족을 해결
- 독자적인 개성의 표현
6. 디자인 이미지 구축
-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것은 능률적인
공간 조성이 되도록 기능적, 정서적, 심미적,
환경적 조화 및 디자인의 기본 원리 등을
고려하여 건축의 내밀화를 기하며 생활공간의
쾌적성을 추구하기 위해 기술적, 미적인 면이
조화를 이루면서 건축의 내부 공간을 창조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생활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즉, 공간의 표상성이 디자인 이미지이다.
'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디자인론 - 디자인의 원리 (0) 2022.05.04 실내디자인론 - 디자인의 요소 (0) 2022.05.03 색채학 - 생활과 색채 (0) 2022.05.01 색채학 - 색의 감정적인 효과 (0) 2022.04.30 색채학 - 색의 지각적 효과 (0)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