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채학 - 색의 지각적 효과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29. 10:48
1. 동시대비 현상
두 색 이상을 동시에 볼 때 일어나는 대비 현상으로
색상의 용도가 다를 때 구별되는 정도이다.
(1) 색상 대비
-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볼 때 각 색상의 차이가
실제의 색과는 달라 보이는 현상
- 배경이 되는 색이나 근접 색의 보색 잔상의 영향으로
색상이 몇 단계 이동된 느낌을 받는다.
- 빨간 바탕 위의 주황색은 노란색의 느낌이,
노란색 바탕 위의 주황색은 빨간색의 느낌이 난다.
- 무채색의 대비,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나지 않는다.
(2) 명도 대비
- 명도가 다른 색을 조합했을 때 밝은 색은 보다 밝게
어두운 색은 보다 어둡게 보이는 현상
(3) 채도 대비
- 어떤 색의 주위에 그것보다 선명한 색이 있으면
그 색의 채도가 원래 가지고 있는 채도보다
낮게 보이는 현상
- 배경색의 채도가 낮으면 도형의 색이 더욱
선명해 보인다.
(4) 보색 대비
- 색상 차가 가장 큰 보색끼리 조합했을 때
서로 다른 색의 채도를 강조하기 위해
더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2. 동시대비의 변화
- 색상 대비 : 무채색의 대비,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나지 않는다.
- 명도 대비 : 무채색의 대비,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난다.
- 채도 대비 :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난다.
- 보색 대비 :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난다..3. 계시대비
-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2개의 색을 순차적으로
볼 때에 생기는 색의 대비 현상
- 어떤 색을 본 후에 다른 색을 보면 단독으로
볼 때와는 다르게 보인다.
- 계속대비 또는 연속 대비라고도 한다.4. 연변 대비
- 어느 두 색이 맞붙어 있을 때 그 경계 언저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보다 색상대비, 명도 대비,
채도 대비 현상이 더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
- 무채색은 명도 단계 배열 시,
유채색은 색상별로 배열 시 나타난다.5. 면적 대비
- 같은 색이라도 면적의 크고 적음에 따라
색의 명도, 채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
- 큰 면적의 색은 실제보다 명도와 채도가
높아 보이며 밝고 선명하게 보이나,
작은 면적의 색은 실제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아 보인다.6. 한난 대비
- 색상에는 따뜻하게 느껴지는 색상(빨강, 주황,
노랑 등)과 차갑게 느껴지는 색상(파랑, 남색,
청색 등)이 있다.
불이나 태양과 같이 뜨거운 온도를 연상시키는
색상은 따뜻하게 느껴지고 물이나 얼음과 같이
차가운 온도를 연상시키는 색상은 차갑게
느껴진다. 그것은 우리가 오랜 경험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를 색채와 연합시키는
대뇌의 작용 때문이다.
색채들 간의 차이를 느끼게 되는 주된 요인이
이러한 한난의 지각 효과에 기인하는 경우를
한난 대비라고 한다.
- 중성색 옆에서 난색을 더욱 따뜻하게 하고
한색은 더욱 차게 느껴지는 현상이다.
그림을 그릴 때 원근을 암시하는 요소로서
먼 쪽은 한색을, 가까운 쪽은 난색을 쓴다.
색의 차고 따뜻함에 변화가 오는 대비로
연두, 보라, 자주 계통은 중성색인데
이 중성색이라도 따뜻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차갑게 느껴지기도 한다.
반대로 중성 옆의 한색은 더욱 차게 보이고
중성색 옆의 난색은 더 따뜻하게 느껴진다.7. 동화 현상
- 동시대비와는 반대 현상이며 옆에 있는 색과
닮은 색으로 변해 보이는 현상이다.
- 색상 동화, 명도 동화, 채도 동화가 있으나
이들은 모두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줄무늬와 같이 주위를 둘러싼 면적이 작거나
하나의 좁은 사이에 복잡하고 섬세하게
배치되었을 때에 일어난다.
- 회화, 그래픽 디자인, 직물 디자인 등의 모든
배색 조화에 필수적인 요소이다.8. 잔상
- 색상에 의하여 망막이 자극을 받게 되면
시세포의 흥분이 중추에 전해져 자극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생기는 시감각 현상
- 시적 잔상이라고 말하는 현상에는
정의 잔상, 부의 잔상 또는 보색 잔상이 있다.
* 정의(양성) 잔상 : 자극으로 생긴 상의 밝기와
색이 똑같은 느낌으로 계속해서 보이는 현상
* 부의(음성) 잔상 : 자극으로 생긴 상의 밝기나
색상 등이 정반대로 느껴지는 현상
* 보색(심리) 잔상 : 어떤 원색을 보다가
백색면으로 시선을 옮기면 그 원색의 보색이
보이는 현상으로 망망의 피로현상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영화, TV 등과 같이 계속적인 움직임의 영상은
정의 잔상 현상을 이용한 것이고,
보색 잔상은 부의 잔상의 예라 할 수 있다.9. 명시성(시인성)
- 색의 주위의 색과 얼마나 구별이 잘 되느냐에 따라
잘 보이는 색과 잘 보이지 않는 색이 있기 마련이다.
두 색의 밝기 차이에 따라서 멀리서도 구별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얼마만큼 색이 눈에
잘 띄는가에 대한 성질을 명시성 또는 가시성이라
하며, 그 정도에 따라 가시도가 높거나 낮다.
- 명시성은 그 색 고유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배경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 검은색 배경일 때는 노란, 주황이 명시도가 높고,
자주, 파랑 등은 낮으며, 흰색 배경일 때는
이와 반대이다. 유채색끼리일 때는 노랑, 주황과
파랑, 자주와의 관계가 명시도가 높다.
- 명시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조건은
명도의 차를 크게 하는 것이다.
* 명시성이 높은 배경색과 주조색
= 흰색 배경 위에서는 녹색, 빨강, 파랑, 보라, 주황
노랑 순
= 회색 배경 위에서는 노랑, 주황, 빨강, 초록, 파랑,
보라 순
= 검정 배경 위에서는 노랑, 주황, 녹색, 파랑, 빨강
보라 순10. 유목성(주목성)
- 어떤 대상을 의도적으로 보고자 하지 않아도
사람의 시선을 끄는 색의 성질을 말한다.
- 명시도가 높은 색은 어느 정도 주목성이 높아진다.
- 일반적으로 고명도, 고채도의 색, 난색 계통의 색이
주목성이 높다.
- 일상 잘 보지 않는 색, 특수한 연상을 일으키는 색,
면적이나 형체 등의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주목성이
변할 수 있다.
- 예) 네온사인, 신호등, 표지판, 스위치 색
* YR - R - YG - B - Bk - Violet - Gray11. 색의 지각
- 진출과 후퇴, 팽창과 수축
* 진출, 팽창 색 : 고명도, 고채도, 난색 계열의 색
예) 적, 황
* 후퇴, 수축 색 : 저명도, 저채도, 한색 계열의 색
예) 녹, 청
- 시간성과 속도감
* 빠른 속도감 : 고명도, 고채도, 난색 계열의 색,
장파장의 계열
* 속도감은 장파장 계열일수록 유리하다.'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학 - 생활과 색채 (0) 2022.05.01 색채학 - 색의 감정적인 효과 (0) 2022.04.30 색채학 - 색의 표시 방법 (0) 2022.04.28 색채학 - 색의 분류, 성질, 혼합 (1) 2022.04.27 색채학 - 색을 지각하는 기본원리 (0)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