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색채학 - 색의 분류, 성질, 혼합
    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27. 10:27

     

    1. 색의 분류

    - 유채색 : 유채색이란 채도가 있는 색을 말한다.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으로 스펙트럼의 단색에

      의한 색상을 이룬 모든 색을 말한다.

      색의 3속성(색상,명도,채도)을 모두 가지고 있다.

    - 무채색 : 흰색, 회색, 검정 등 색상이나 채도가 없고

      명도만 있는 색을 무채색이라 한다.

      순수한 무채색은 검정, 백색을 포함하여 그 사이 

      색을 말한다.

      명도단계는 N0(검정), N1, N2, ..., N9.5(흰색)까지

      11단계로 되어 있다.

      반사율이 약 85%인 경우가 흰색이고, 30%

      정도이면 회색, 3%정도는 검은색이다.

      온도 감은 따뜻하지도 차지도 않은 중성이다.

     

    2. 색의 3 속성

    색은 색상, 명도, 채도의 3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1) 색상(Hue)

    - 색상은 색의 차이를 나타낸다.

    -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여러 색상을 원형으로

      배치한 색상환을 자주 참고하는데,

      검은색과 흰색을 제외한 순색 12 컬러로 표시하거나

      24 컬러로 표시한다.

     

    (2) 명도(Value)

    - 명도란 색상의 밝은 정도를 말한다.

    - 명도는 흰색에 가까울수록 높고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낮다고 말하며, 명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색이 밝다는 의미이다.

    -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은 흰색, 가장 낮은 색은

      검은색이다. 검은색과 흰색을 제외한

      순색 12 컬러 중에서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은

      노란색이며, 보라색과 빨간색은 명도가

      가장 낮다.

     

    (3) 채도(Chroma)

    - 채도는 순도 또는 포화도라고도 하며 

      색의 선명도, 즉 색채의 강하고 약한 정도를 말한다.

    - 색은 순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으며,

      다른 색상을 가하면 채도가 낮아진다.

      이렇게 색의 순수한 정도, 색채의 포화상태,

      색채의 강약을 나타내는 성질을 채도라고 말한다.

    - 무채색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의 단위로서 색채의 산뜻한

      정도를 나타낸다.

    - 무채색을 0으로 그 색상에서 가장 순수한 색이 

      최대의 채도 값이다.

    - 수채물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포화된 순색은

      채도 10 또는 그것에 가까운 수치로 표시된다.

    - 어떠한 색상의 순색에 무채색(흰색이나 검정)

      포함량이 많을수록 채도가 낮아지고,

      포함량이 적을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순색이며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아진다.

    - 보색 관계의 색을 섞으면 회색이 되어

      채도가 낮아진다.

    - 유채색의 순색끼리 섞으면 채도 변화가 적다.

    - 검정, 회색, 하양은 무채색이므로 채도가 없다.

      : 채도는 순도 또는 포화도라고도 하며

       색의 선명도, 즉 색채의 강하고 약한 정도를 말한다.

      :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순색이며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아진다.

       여기서 무채색이란 색상이나 채도는 없고

       명도의 차이만을 가지는 색,

       즉 검은색, 흰색, 회색을 가리킨다.

      : 검정, 회색, 하양은 무채색이므로 채도가 없다.

     

     

    3. 광삼 현상

    - 백색이나 강한 채도의 물체가 어두운 배경에

      놓일 때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 착각을 말한다.

    - 흰 물체는 빛을 방사하는 것 같이 보이며 

      그 둘레가 퍼져나가는 것 같이 점점 흐리게 보인다.

    - 검은 종이 위에 놓인 흰 사각형은 흰 종이 위에

      놓인 같은 크기의 검은 사각형보다 

      더 커 보인다.

     

    4. 색광의 3 원색

    - 색광의 3 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다.

    - 색광의 3 원색을 혼합하는 것을 가법 혼색, 가색 혼합,

      색광 혼합이라고 한다.

    - 색광의 3원 색인 빨강, 녹색, 파랑 색을 서로 비슷한

      밝기로 혼합하면 흰색으로 된다.

    - 보색인 색광을 혼합하여 백색광이 되었을 때

      두 색광은 서로 상대에 대한 보색이라 하는데

      빨강과 청록, 파랑과 노랑, 녹색과 자주를 

      혼합하면 백색광이 된다.

     

    5. 색료의 3 원색

    - 색료의 3 원색은 청색, 자주, 노랑이다.

    - 청색(시안), 자주(마젠타), 노랑을 여러 강도로

      섞으면 어떤 색이라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3색을 감산 혼합의 3 원색이라고 한다.

    - 혼합해서 만든 색을 2차 색이라고 부른다.

      자주(M) + 노랑(Y) = 빨강(R)

      노랑(Y) + 파랑(C) = 초록(G)

      파랑(C) + 자주(M) = 청자(B)

      자주(M) + 노랑(Y) + 파랑(C) = 검정(B)

      = 2차 색은 원색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

      = 색료 혼합의 3 원색을 모두 혼합하면 

         흑색(Black)이 된다.

     

    6. 색의 혼합(혼색)

    - 가산 혼합(가법 혼색) : 혼합할수록 더 밝아지는

      (색광)의 혼합을 말한다

      2차 색은 1차 색보다 명도가 높아진다.

    - 감산 혼합(감법 혼색) : 혼합할수록 더 어두워지는 

      물감(색료)의 혼합을 말한다.

      2차 색은 1차 색보다 명도가 낮아진다.

    - 중간 혼합(중간 혼색) : 혼합하면 중간 명도에

      가까워지는 병치 혼합과 회전혼합을 말한다.

      두 색의 명도가 합쳐진 것의 평균 명도가 된다.

      * 병치혼합 : 빨간 털실과 파란 털실로 짠

       스웨터는 멀리서 보면 보라색으로 보인다.

       화면에 빨간 점과 파란 점을 무수히 많이

       찍으면 멀리서 보라색으로 보인다.

      * 회전 혼합 : 팽이에 절반은 빨간색

       절반은 파란색을 칠하여 회전시키면

       보라색으로 보인다.

     

    7. 가산 혼합 또는 가법 혼색

    - 빛의 혼합을 말하며, 색광 혼합의 3 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다.

    - 적색광과 녹색광을 흰 스크린에 투영하여

      혼합하면 빨강이나 녹색보다 밝은 노랑이 된다.

      이와 같이 빛을 더해서 혼합하는 방법을

      가산 혼합 또는 가법 혼색이라고 한다.

    - 2차 색은 원색보다 명도가 높아진다.

      보색끼리의 혼합은 무채색이 된다.

    - 빨강, 녹색, 파랑의 색광을 여러 가지 세기로

      혼합하면 거의 모든 색을 만들 수 있으므로

      3색을 가산 혼합의 삼원색이라고 한다.

      청자(B) + (G) = (C)

      초록(G) + 빨강(R) = 노랑(Y)

      청자(B) + 빨강(R) = 자주(M)

      청자(B) + 초록(G) + 빨강(R) = 하양(W)

    - 컬러텔레비전의 수상기, 무대의 투광조명,

      분수의 채색 조명 등에 이 원리가 사용된다.

     

    8. 감산 혼합, 감법 혼색 -색료 혼합

    - 색료의 혼합으로 색료 혼합의 3 원색은

      청색(Cyan), 자주(Magenta), 노랑(Yellow)이다.

    - 색료를 혼합하여 색 필터를 겹치거나 

      그림물감을 혼합하는 방법을 감산 혼합

      또는 감법 혼색, 색료 혼합이라고 한다.

    - 2차 색은 원색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

    - 색료 혼합의 3 원색은 청색, 자주, 노랑을

      모두 혼합하면 흑색(Black)이 된다.

    - 자주, 노랑, 청색을 여러 강도로 섞으면

      어떤 색이라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3색을 감산 혼합의 3 원색이라고 한다.

      자주(M) + 노랑(Y) = 빨강(R)

      노랑(Y) + 파랑(C) = 초록(G)

      파랑(C) + 자주(M) = 청자(B)

      자주(M) + 노랑(Y) + 파랑(C) = 검정(B)

    - 컬러사진, 컬러 인쇄, 수채화 등에 이 원리가 

      사용된다.

     

    9. 병치 가법 혼색

    - 색광에 의한 병치 혼합으로 작은 색점을 섬세하게

      병치시키는 방법으로 빨강, 초록, 청자 3색의

      작은 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혼색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 칼라 TV의 화상, 모자이크 벽화, 점묘 화법,

          직물의 색조 디자인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