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건축재료 - 방수재와 단열재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25. 21:18
1. 방수재
1-1 아스팔트 방수재료
(1) 천연 아스팔트
- 레이키 아스팔트 : 도로포장, 내산 공사에 사용
- 로크 아스팔트 : 역청분이 모래, 사암에 침투되어
있는 것
- 아스팔트 타이트 : 방수, 포장, 절연재료의
원료로 사용
(2) 석유 아스팔트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신축이 좋고
교착력이 우수하나, 연화점이 낮아 지하실에 쓰인다.
- 블로운 아스팔트 : 지붕방수에 많이 쓰이며
연화점이 높다.
- 아스팔트 컴파운드 : 블로운 아스팔트에
동식물성 유지나 광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만든
가장 크고 최우량품이다.
- 아스팔트 프라이머 : 블로운 아스팔트에 휘발성
용제를 넣어 묽게 한 것으로, 방수층 바탕에
침투시켜 부착이 잘 되게 한다.
(3) 펠트, 루핑류
- 아스팔트 펠트 : 유기성 섬유를 펠트상으로 만든
원지를 가열 용융한 침투용 아스팔트를 통과시켜
만든 것
- 아스팔트 루핑 : 원지에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다음,
양면에 피복용 아스팔트를 도포하고,
광물질 분말을 살포시켜 마무리한 것이다.
- 특수 루핑 : 마포, 면포 등을 원지 대신 사용한
것으로 망형 루우핑이라고도 한다.
(4) 아스팔트 제품
- 아스팔트 유제 : 유화제를 넣은 수용액에
아스팔트 분말을 다량 혼입 한 것으로
바탕에 침투가 쉽고 수용성이나, 프라이머보다
접착력이 약하다.
- 아스팔트 코킹제 : 틈서리, 줄눈 등에 사춤 하여
방수 처리하는 것
- 아스팔트 코팅제 : 아스팔트, 가솔린, 석면 등을
혼입 하여 방수층의 치켜 올림부에 사용한다.
1-2 아스팔트의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
침입도, 연화점, 감온 비, 신장(늘임도), 인화점,
가열 감량, 비중, 이유화 탄소 가용분, 고정 탄소 등
* 침입도
- 아스팔트의 경도를 표시한 값으로,
클수록 부드러운 아스팔트이다.
- 0.1mm 관입 시 침입도 PI=I로 본다.
(25℃, 100g, 5 sec 조건으로 측정)
- 아스팔트 양부 판정 시 가장 중요하다.
침입도와 연화점은 반비례 관계이다.
2. 단열재
2-1 단열의 목적
단열은 건물외피와 주위 환경 간의 열 류를
차단하는 역할
- 냉, 난방부하를 대폭 줄임으로써
Energy Saving
-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 냉난방 가동시간 단축
2-2 단열의 요구성능
- 열전도율이 낮을 것
- 흡수율이 낮을 것
- 투습성이 적고, 내화성이 있을 것
- 비중이 작고 상온에서 시공성이 좋을 것
- 기계적인 강도가 있을 것
- 내후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재료로
부패되지 않을 것
-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지 않고,
인체에 유해 않을 것
2-3 단열재의 종류
(1) 무기질 단열 재료
1) 유리면 : 용융시킨 유리를 압충공기로 불어
섬유형태로 만든 제품으로서 유리솜
또는 글라스울이라고 한다.
-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방음성, 내식성,
내수성, 전기절연성 우수
- 단열재, 보온재, 방음재, 전기절연재,
축전지용 격벽재 등에 사용
2) 암면 : 암석(안산암, 현무암, 사문암 등)을
용융시킨 후 급랭하여 광물섬유 상태로
만든 것
- 단열성, 흡성성이 뛰어나다.
- 내화성이 우수, 상온에서 열전도율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흡음률이 높다.
- 보온재, 단열재, 흡음재, 철골 내화피복재
등에 사용
3) 세라믹 파이버(섬유)
- 원료 : 실리카, 알루미나
- 단열 재료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1,000℃ 이상)
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
- 단열재, 내열성 보온재, 우주항공기 등에 사용
4) 펄라이트판
- 펄라이트 입자를 압축 성형하여 만든다.
- 경량이며 수분 침투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
- 내열성이 높아 배관용 단열재 등에 사용
5) 규산칼슘판
- 규산질 분말과 석회분말을 주원료로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보강 섬유를
첨가하여 만든다.
- 가볍고 내열성, 단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다.
- 단열재, 철골 내화피복재 등에 사용
6) 경량 기포 콘크리트
(2) 유기질 단열 재료
1) 셀룰로스 섬유판
- 천연의 목질 섬유를 가공 처리하여 만든다.
- 단열성, 보온성 우수
2) 연질 섬유판
- 식물섬유를 물리적, 화학적 처리하여
섬유화하여 열압성형하여 만든다.
- 단열, 보온, 흡음성이 있다.
3) 폴리 스텔렌 폼
- 무색투명한 수지로 전기절연성,
단열성이 좋다.
- 단열재, 보온재로 사용
4) 경질 우레탄 폼
- 방수성, 내투습성이 뛰어나다.
- 단열성이 매우 뛰어나다.
- 전기냉장고, 냉동선 등에 사용'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학 - 색의 분류, 성질, 혼합 (1) 2022.04.27 색채학 - 색을 지각하는 기본원리 (0) 2022.04.26 실내건축재료 - 미장재료 (0) 2022.04.24 실내건축재료 - 금속재료 (0) 2022.04.22 실내건축재료 - 유리 (0)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