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실내건축재료 - 유리
    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20. 16:47

    유리는 광선을 투과시켜 투명하고 아름다운 광택과

    내구성을 가진 반영구적인 불연재료이다.

    품질이 균일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표면 마감처리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는 

    재료이지만 충격 강도에 약하여 파손되기 쉽고

    열에 약한 성질 등 다른 재료에 비하여 떨어지는

    결점도 있다.

     

    현대에 와서는 유리의 다양한 제품 개발과 생산 및

    시공법 발달로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져가고 있다.

    따라서 유리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재료 중의 

    하나기도 하다.

    특히 실내건축에서도 장식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측면까지 고려하여 마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재료로 쓰이고 있다.

     

    유리는 규산과 같은 산성분과 염기 성분을

    함유한 원료를 혼합하여,

    1,400~1,600℃ 정도의 온도로 용융하여

    다시 냉각시킨 후 결정화되지 않게 고화하여 만든 

    재료이다.

     

     

    1. 유리의 일반적 성질

    보통 유리의 비중은 2.5 내외이다.

    - 보통 유리의 강도는 풍압에 의한 휨강도를 말한다.

    - 열전도율(콘크리트의 1/2) 및 열팽창률이 작다.

    - 비열이 크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급히 가열하거나

      냉각하면 파괴되기 쉽다.

    - 열에 약하며, 얇은 유리보다 두꺼운 유리가

      열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

    - 적외선은 잘 투과하나 자외선은 잘 투과되지 않는다.

     

     

    2. 유리의 열에 대한 성질

    - 유리는 열전도율 및 열팽창률이 작고

      비열이 크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급히 가열하거나 냉각하면 파괴되기 쉽다.

    - 유리는 열에 약하며, 얇은 유리보다 두꺼운 유리가 

      열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

    - 두께 1.9mm 105℃, 두께 3mm 80~100℃,

      두께 5mm 60℃이상의 부분적인 온도차가

      발생하면 파괴된다.

     

     

    3. 유리의 종류

    (1) 소다석회 유리

    - 용융하기 쉽고 풍화되기 쉽다.

    - 산에 강하나, 알칼리에 약하다.

    - 팽창률이 크고 강도가 높다.

    - 용도 : 건축 일반용 창호유리, 병유리 등

     

    (2) 보통 판유리

    - 박판 유리(6mm 미만)와 미만)와 후판 유리(6mm 이상)로

      분류한다.

    - 기포, 규사 함유량에 따라 등급 판정하며,

      비중은 2.5 정도이다.

    - 보통 판유리의 강도는 풍압에 의한 휨강도를 말한다.

      (휨강도 43~63 휨강도 43~63 MPa정도)

    - 열전도율이 콘크리트보다 작다.

    - 연화점은 720℃~730℃ 정도이다.

     

    (3) 글라스 블록(유리블록)

    - 사각형, 원형 모양을 잘 맞추어 600℃에서 

      용착 시켜서 일체로 한 유리이다.

    - 열전도율이 벽돌의 1/4배 정도이고 

      실내 냉, 난방에 효과가 있다.

    - 접착제는 물유리를 사용한다.

    - 용도 : 의장용, 방음용, 단열용

     

    (4) 망입 유리

    - 유리 내부에 금속망(, 놋쇠, 알루미늄 망)

      삽입하여 압착 성형한 것으로 

      도난방지 유류창고에 사용한다.

    - 열을 받아서 유리가 파손되어도 

      떨어지지 않으므로 을종 방화문에 사용한다.

     

    (5) 강화유리

    - 평면 및 곡면, 판유리를 600℃ 이상의 가열로

      균등한 공기를 뿜어 급랭시켜 제조한다.

    - 내충격, 하중강도는 보통 유리의 3~5

      휨강도는 6배 정도이다.

    - 200℃이상의 고온에서 견디므로

      강철 유리라고도 한다.

    - 현장에서의 가공, 절단이 불가능하다.

    - 용도 : 무테 문, 자동차, 선박 등에 쓰며 

      커튼월에 쓰이는 착색 강화유리도 있다.

     

    (6) 접합유리 

    - 2장 이상의 판유리 사이에 폴리비닐을 넣고

      150℃의 고열로 강하게 접합하여

      파손 시 파편이 안 떨어지게 한 유리로

      접합 안전유리라고도 한다.

    - 필름의 인장력으로 인한 충격 흡수력이 높다.

     

    (7) 복층유리

    - 이중 유리 이중 유리, 겹 유리라고도 한다.

    - 단열, 방음, 방서 효과가 크고, 결로 방지용으로

      우수하다.

    - 현장 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주문제작 시 치수 지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 안전유리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8) 열선 반사 유리

    - 판유리 표면에 금속 피막을 코팅한 것으로

      냉방부하의 경감과 동시에 실내온도의 균일화에 

      우수한 성능을 가진 유리로 밝은 편에서 보면

      거울효과가 있다.

    - 열선 에너지의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9) 열선 흡수 유리

    - 판유리에 소량의 니켈, 코발트, 세렌, 철 등을

      함유시켜 열선의 흡수율을 높인 착색 투명한 유리로

     색조의 종류에는 청색, 회색, 갈색 등이 있다.

    - 일반 판유리보다 약 4~6배의 태양복사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온도차가 심하면 파손되기 쉽다.

     

    (10) 프리즘 유리

    - 좁은 천창을 통하여 실내에 균일한 채광 효과를 얻고자

     할 때 가장 적당한 유리이다. (지하실, 지붕 등의 채광용)

    - 투과 광선의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집중 확산시킬

      목적으로 프리즘 이론을 응용해서

      만든 유리로 Desk Glass, Top Light,

      포도 유리라고도 한다.

     

    (11) 스테인드 유리

    - 각종 색유리의 작은 조각을 도안에 맞추어 조립하여

      모양을 낸 유리이다.

    - 성당의 창, 상업건축의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12) 스팬드럴 유리 

    - 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질 도료를 코팅한 다음

      고온에서 융착 반 강화시킨 불투명한 색유리로

      미려한 금속성을 만든다.

    - 코팅 처리 후 강화되기 때문에 일반 유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일반 유리보다

      몇 배의 강도를 가진다.

      또한 열에 강하다.

    - 다양한 색상의 세라믹 질의 도료가 코팅되어

      중후한 느낌을 준다.

     

    '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재료 - 미장재료  (0) 2022.04.24
    실내건축재료 - 금속재료  (0) 2022.04.22
    실내건축재료 - 콘크리트  (0) 2022.04.19
    실내건축재료 - 시멘트  (0) 2022.04.18
    실내건축재료 - 석재  (0) 2022.04.17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