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공학 - 청각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13. 00:30
1. 소리의 전달 과정
음원 -> 음의 매체(공기) -> 외이도 -> 고막
-> 중이 -> 달팽이관(임파액) -> 청신경 -> 뇌
* 청력은 낮은 진동수에서는 남자의 청력이
우수하고, 높은 진동수에서는
여자가 우수하다.
2. 소리의 3요소
- 음의 세기 : 진폭
- 음의 높이 : 진동수
- 음색 : 파형
3. 가청 범위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
: 20~20,000Hz
* 주파수 : 음이 1초간에 진동하는 횟수,
단위는 cycle/sec 또는 Hz
- 초저주파 : 20Hz 이하
- 가청주파 : 20~20,000Hz
- 초고주파 : 20,000Hz 이상
4. 소리의 종류
(1) 단음(순음)
압력의 변화가 일정한 주기가 일어나고
진동수가 한 종류인 것을 말하며
실험실 밖에서는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2) 복음
- 주기음 : 기초 진동수의 정수배의 소리로서
배음 관계가 있다.
- 비주기음 : 불규칙한 파동으로 성립되며
구성되는 각 진동수 간에 배음관계가 없다.
소음은 주로 비주기음이다.
(3) 백색 소음
가청 범위에 있는 모든 진동수를 내포한
소리이다.
5. 청각의 물리적 성질과 주관적 표현
- 소리는 인간의 청력기관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물리적 현상으로서 물리적 측면에서
음파라고 하는데 즉, 탄성체를 통해 전달되는
밀도 변화의 파를 말한다.
- 청각에서는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진동수,
강도, 계속 시간에 대응하는 주관적 표현으로서
소리의 높이, 음량, 계속 시간을 사용한다.
㉠ 소리를 구성하는 3개의 물리량 :
진동수, 강도(음량), 계속시간
㉡ 주관적 표현 : 소리의 높이, 강도(음량), 계속시간
6. Phon(폰)
- 귀에 들리는 소리의 크기가 같다고 느껴지는
1,000Hz의 순음의 음압레벨
(귀의 감각적 변화를 고려한 주관적인 척도)
- 같은 크기로 들리는 소리를 주파수별 음압 수준을
측정하여 등감도곡선을 얻는다.
이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폰(Phon)
이다.
- 1,000Hz 순음의 음압이 최소 가정 값에 해당하는
20μPa(=20μN/㎡) 일 때 0 폰으로 한다.
* 등감도곡선에서 1000Hz의 100dB의 소리와
같은 크기로 들리는 소리는 100 폰이다.
'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 - 작업환경 조건 [1] (0) 2022.04.15 인간공학 - 지각 (0) 2022.04.14 인간공학 - 시각 (0) 2022.04.12 인간공학 - 인체계측 (0) 2022.04.11 인간공학 - 인간공학 일반 (0) 202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