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반구조 - 기타 구조
    실내 건축(인테리어) 2022. 4. 9. 18:20

    1. 기타 구조

    (1) 조립식 구조

    - 공장 생산에 의한 대량생산 가능

    - 기계화 시공에 의한 공기단축과 시공능률 향상

    - 공사비 절감

    - 자재 운반에 따른 제약 및 설치 시 

      고도의 기술력 필요

    - 접합부가 일체화될 수 없는 데에 따른

      접합부 강성의 취약

     

    (2)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기둥, 벽, 보 및 바닥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공업화 건축의

    하나이다.

    건설 수요의 급증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필요해지면서 적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 골조를 구성하는 대개의 부재가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품질의 향상, 공기단축

      등의 이점이 있다.

    - 사전에 창호, 설비용의 파이프 등을 

      설치해 둘 수가 있다.

    - 접합부가 일체화될 수 없어 접합부 강성이

      취약하므로 PC 부재의 접합(이음) 부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 기후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설계상의 제약이 따른다.

    - 중층의 공동 주택에 많이 쓰인다.

    * 초기 시설 투자비가 많이 든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고강도 강선을 사용하여 인장 응력을 미리 

    부여함으로써 단면을 적게 하면서 큰 응력을

    받을 수 있는 콘크리트이다.

    - 장점

      : 내구성, 수밀성이 양호하다.

      : 경량구조, 장대 구조가 가능하고

       미관이 양호하다.

      : 처짐이 적다.

      : 구조물의 안전성이 크다.

      : 연결 시공, 분할 시공, 현장타설 시공이

       가능하다.

    - 단점

      :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단면을 작게

       할 수 있으나 강성이 작아 진동되기 쉽고

       변형하기 쉽다.

      : 고강도 강재는 고온 하에서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응력 검토 과정이

       복잡하여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고가이다.

     

     

    (4) 커튼월 구조

    건물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은 기둥과 보가

    담당하고, 외벽은 단지 건물 내부와 외부라는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의 구실만 하도록 한

    비내력벽 구조체로 건축물 모체에 패스너를

    부착해 설치, 해체가 자유로운 구조를 말하며,

    금속패널, 유리, PC 콘크리트 등을 부착하는

    공사를 말한다.

     

    1) 커튼월의 특성 및 요구 성능

    - 건축 생산의 프리배브화와 외벽의 경량화,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 층간 변위에 대한 추종 성과 내풍압성,

      기밀성, 수밀성이 확보된다.

    - 내구성, 열적 안전성, 차음, 단열성능이

      있어야 한다.

     

    2) 커튼월의 분류

    분류 방식
    커튼월의 외관형태 멀리온(mullion, 샛기둥) 방식, 스팬드럴(spandrel) 방식, 격자(grid) 방식, 피복(sheath) 방식
    커튼월의 구조방식 멀리온 방식, 패널(panel) 방식, 커버(cover) 방식
    커튼월의 판넬 부착방식 슬라이딩 방식, 로킹 방식, 고정 방식

     

    3) 패스너(Fastener)

    외벽 커튼월과 골조를 긴결 하는 중요한 

    부품으로써 커튼월에 가해지는 외력을

    지탱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2. 방수

    (1) 아스팔트 방수 재료

    - 석유 아스팔트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신축이 좋고

         교착력이 우수하나, 연화점이 낮아

         지하실에 쓰인다.

      ㉡ 블로운 아스팔트 : 지붕방수에 많이 

         쓰이며 연화점이 높다.

      ㉢ 아스팔트 컴파운드 : 블로운 아스팔트에

         동식물성 유지나 광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만든 신축성이 가장 크고 최우량품이다.

      ㉣ 아스팔트 프라이머 : 블로운 아스팔트에 

         휘발성 용제를 넣어 묽게 한 것으로,

         방수층 바탕에 침투시켜 부착이 잘 되게 한다.

     

    - 펠트, 루핑류

      ㉠ 아스팔트 펠트 : 유기성 섬유를 펠트상으로

         만든 원지를 가열 용융한 침투용 아스팔트를

         통과시켜 만든 것

      ㉡ 아스팔트 루핑 : 원지에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다음, 양면에 피복용 아스팔트를 도포하고,

         광물질 분말을 살포시켜 마무리한 것이다.

      ㉢ 특수 루핑 : 마포, 면포 등을 원지 대신 사용한

         것으로 망형 루핑이라고도 한다.

     

     

    3. 창호, 금속

    (1) 알루미늄 창호

    장점 단점
    - 경량이다. (비중이 철의 약 1/3 정도)
    - 녹슬지 않고 사용연한이 길다.
    - 공작이 자유롭고 기밀, 수밀성이 우수하다.
    - 내식성이 강하고 착색이 가능하다.
    - 여닫음이 경쾌하다.
    - 철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다.
    - 모르타르, 콘크리트, 회반죽 등 알카리에 약하다.
    - 내화성이 약하다. 염분에 약하다.
    - 이질 금속과 접하면 부식된다.
    - 강성이 적고, 수축 팽창이 크다. (철의 2배)

     

    (2) 창호 철물

    종류 내용
    자유 정첩 (Spring hinge) Spring hinge라고 하며, 안밖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정첩, 자재문에 사용
    레버터리 힌지 (Labatory hinge) 공중전화 출입문, 공중변소에 사용, 15cm 정도 열려진 것
    플로어 힌지 (Floor hinge) 정첩으로 지탱할 수 없는 무거운 자재 여닫이문에 사용
    피보트 힌지 (Pivot hinge) 용수철을 쓰지 않고 문장부식으로 된 정첩, 가장 무거운 문에 사용
    도어체크 (Door check)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문을 닫는 장치(=Door closer)
    함 자물쇠 (Rimlock) Latch bolt(손잡이를 돌리면 열리는 자물통)와 Dead bolt(열쇠로 회전시켜 잠그는 자물쇠)가 함께 있다.
    실린더 자물쇠 Pin tumbler lock, Mono lock이라고도 하며, 자물통이 실린더로 된 것으로 텀블러 대신 핀을 넣은 실린터 록으로 고정
    나이트 래치 (Night latch) 바깥에서는 열쇠, 안에서는 손잡이로 여는 실린더 장치
    엘보우 래치 (Elbow latch) 팔꿈치 조작식 문 개폐장치, 병원 수술실, 현관 등에 사용
    도어홀더, 도어스톱 도어 홀더(문열림 방지), 도어 스톱(벽, 문짝 보호)
    오르내리 꽂이쇠 쌍여닫이문(주로 현관문)에 상하 고정용으로 달아서 개폐방지
    크레센트 (Crescent) 오르내리창이나 미서기창의 잠금장치(자물쇠)
    멀리온 (Mullion) 창면적이 클 때 기존 창 Frame을 보강하는 중간 선대로 커튼월 구조에서는 버팀대, 수직지지대로 불리운다.

     

    (3) 금속 철물

    구분 특징
    기성철물 미끄럼막이(Non-slip) 계단의 디딤판 모서리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철물
    코너비드(Coner bead)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바름을 보호하는 철물
    황동 줄눈대 - 인조석 테라조갈기에 쓰이는 바닥용 줄눈대로 I자형이다. 
    - 바름 구획, 균열 방지, 보수 용이를 위하여 사용하며, 길이 90cm가 표준
    조이너(Joiner) - 벽, 천장, 바닥용 줄눈대
    - 18mm 정도의 줄눈 가림재로 이질재와의 접촉부에 사용
    와이어 라스(Wire lath) - 철선을 꼬아서 만든 것으로, 벽, 천장의 미장공사에 사용
    - 원형, 마름모, 갑형 등 3종류가 있다.
    메탈 라스(Metal lath) - 박강판에 자국을 내어 짚으로 잡아 당겨 그물코 모양으로 만든 것
    - 벽, 천장의 미장바름에 사용
    와이어 메쉬(Wire Mesh) - 연강 철선을 격자형으로 짜서 접점을 전기 용접한 것 
    - 블록을 쌓을 때나 보호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균열을 방지 및 교차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
    블록 메쉬 블록 보강용 와이어 메쉬로 15cm 간격으로 전기용접한 것
    고정철물 인서트(Insert) - 구조물 등을 달아매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에 미리 묻어 놓는 수장 철물 
    - 철근, 철물, 핀, 볼트 등도 사용
    익스팬션 볼트(Expension bolt) -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고 볼트를 틀어박으면 그 끝이 벌어지게 되어 있는 철물(인발력 270~500kg)
    스크류 앵커(Screw anchor) - 콘크리트나 벽돌조에 매입된 연질 금속의 플러그에 나사못을 박는 것으로 익스팬션 볼트와 같은 원리이다. (인발력 50~115kg)
    드라이브 핀(Drive pin) - 타정 총으로 소량의 화약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돌벽, 강재 등에 드라이브 핀을 순간적으로 박는 특수못
    장식철물 펀칭 메탈(Punching metal) - 판두께 1.2mm 이하의 각종 무늬 모양으로 구멍을 뚫어 만든 것
    - 환기구, 라지에이터(방열기) 덮개 등에 사용
    법랑 칠판 - 0.6~2.0mm 두께의 저탄소 강판에 법랑(유기질 유약)을 소성한 것
    - 주방용품, 욕조 등에 사용

     

     

    4. 수장

    (1) 반자의 종류

    - 구성반자 : 응접실, 거실 등의 장식 겸 

      음향효과와 전기조명 시 간접조명을 

      하기 위한 반자

    - 우물 반자 : 반자틀을 네모방틀 격자모양으로 

      하여 틀을 짜서 만든 반자로서,

      서로 +자로 만나는 곳은 연귀턱맞춤으로

      하며, 이음은 턱솔 또는 주먹장으로 한다.

    - 널반자 : 반자틀 밑에 널을 치올려 못 박아 대는

      반자로서 치받이 널 반자라고도 한다.

    - 건축판 반자 : 합판, 각종 섬유재, 석면 시멘트판,

      석고판, 금속판 등을 적당한 크기로 맞추어

      모양에 맞게 졸대를 붙이는 반자

    - 바름반자 : 반자틀에 약 7.5cm 간격으로 못 박아

      대고, 그 위에 수염을 사방에 약 30cm 간격에

      하나씩 박아 늘이고 회반죽, 플라스터, 모르타르

      등을 바른 반자이다.

    - 층단반자 : 천장 주위 또는 구석 일부의 반자를

      일단 낮게 하여 일반반자와 대조가 되게

      한 것이다.

     

    (2) 목조 계단

    - 디딤판 : 디딤판은 옆판에 통 넣고 쇄기 치기를

      하여 고정시킨다.

    - 챌판 : 챌판은 상부 디딤판에 홈을 파 넣고

      좌, 우는 옆판에 통 넣고 쇄기 치기를 한다.

    - 옆판 : 디딤판과 챌판의 하중이 모이는

      곳이므로 두께는 5~10cm 정도며 엄지 기둥에

      주먹 장부 넣기로 한다.

    - 계단멍에 : 계단 나비가 1.2m를 초과할 때

      디딤판의 처짐 및 보행 진동을 막기 위해서

      중간에 보강한다.

    - 난간, 엄지기둥, 난간두겁, 난간동자 등

     

    '실내 건축(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 - 인체계측  (0) 2022.04.11
    인간공학 - 인간공학 일반  (0) 2022.04.10
    일반구조 - 철골 구조  (0) 2022.04.08
    일반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0) 2022.04.07
    일반구조 - 조적조  (0) 2022.04.07

    댓글

Designed by Tistory.